폴리염화비닐(PVC)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합성 플라스틱 중합체입니다. 2018년 전 세계 PVC 생산량은 약 4,430만 톤에 달했으며, 2025년까지 약 6천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높은 생산량은 PVC가 다양한 산업, 특히 건설, 포장, 의료기기 분야에서 다재다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널리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PVC 폐기 통계
- 글로벌 플라스틱 폐기물: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3억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며, 그중 PVC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특정 PVC 제품을 포함한 일회용 플라스틱은 연간 플라스틱 생산량의 약 50%를 차지하며, 플라스틱 포장재는 전체 소비량의 40%를 차지합니다.
- 재활용: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전체 플라스틱 폐기물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PVC 재활용은 그 성분과 사용되는 첨가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특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 처분: PVC를 포함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상당 부분은 매립지나 자연환경으로 유입됩니다. 전체 플라스틱 폐기물 중 약 79%는 매립지에 쌓이거나 환경으로 유출되고, 12%는 소각됩니다. PVC를 부적절하게 폐기하면 프탈레이트나 안정제로 사용되는 중금속과 같은 독성 물질이 방출되어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바다 플라스틱: PVC를 포함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약 3천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와 해양에 축적되었으며, 1억 9백만 톤이 강에 추가로 축적되어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 국가별 폐기: 1인당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국가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2019년 미국은 1인당 연간 약 221kg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배출한 반면, 일본과 한국은 69kg을 배출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PVC 및 기타 플라스틱의 사용 및 폐기 관행 수준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과제와 이니셔티브
- 환경 영향: PVC 폐기는 분해 시간이 길고 유해 화학 물질을 방출할 가능성이 있어 환경 문제를 야기합니다. 이러한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PVC 제품의 가소제 사용량을 줄이고 폐기물 관리 관행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 정책 및 규제: PVC, 특히 첨가제에 대한 규제를 더욱 엄격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유럽에서는 환경 및 건강 위험을 줄이기 위해 납 기반 안정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PVC 제품의 카드뮴 사용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공공 및 기업의 책임: 공공 부문과 기업 부문 모두에서 인식과 행동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예를 들어, 대기업의 폐기물 처리 수수료 미납과 같은 사건들은 현행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부각시키며, 더 나은 책임과 관행에 대한 요구를 촉발합니다.